심근다리Myocardial bridging는 관상동맥의 일부가 심근 안쪽으로 주행하는 것을 말한다.
- 1737년 Reyman이 최초로 보고하였고, 관상동맥촬영술 시 약 0.5~2.5%에서 발견된다.
- 좌전하행동맥 중간부위에 많이 생기며, 길이는 10~30mm, 깊이는 1~10mm인 경우가 많다.
- 대부분 증상이 없으나 심근다리 근위부에 죽상경화증이 잘 생기며, 수축기에 허혈을 일으킬 수 있다.
- 심근다리가 심근 속에 깊이 위치할수록 심근허혈이 더 잘 발생하며, 종종 협심증, 심근경색, 부정맥 등을 일으킨다.
- 고식적 관상동맥촬영술에서는 수축기 압박에 의한 쥐어짜기 효과milking effect가 관찰되면 진단한다.
- MDCT상 심근 안으로 주행하는 관상동맥과 이완기 및 수축기 주기에 따라 변하는 관상동맥 직경을 확인한다.
Reference :
1. 심장혈관영상의학, 제2판
2. Assessment of Myocardial Bridge and Mural Coronary Artery Using ECG-Gated 256-Slice CT Angiography: A Retrospective Study The Scientific World Journal / 2013 / Article / Fig 2
'심장 혈관계 영상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반흉부촬영에서 심장의 외연을 이루는 정상 구조물 (0) | 2021.01.06 |
---|---|
Aortic-Pulmonary Stripe (0) | 2021.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