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오운육기학 의문사항 정리.

운기학 정리

1. 오운육기학에서 일년의 시작은 왜 대한인가?

오운육기학에서는 1년을 6보로 나누며, 각 보는 60일이다. 춘분의 전 60일부터 그 해의 기운(초지기)이 들어온다고 보기 때문에 춘분 전 60일이 되는 절기는 대한이다. 따라서 대한을 시작으로 삼는것이다.


2. 육보의 동서남북 상 하위는 무엇인가.

성인이 남면이립하여 남쪽 하늘의 태양이 오는 자리가 상위이고 뒤를 돌아 땅 아래가 하위가 된다. 삼지기가 정남의 상위자리고 사천지기이며, 하늘에서 부린다는 뜻이다. 종지기가 정북의 하위자리로 재천지기이다. 땅 속에 음이 들어가 있다는 뜻이다.

사천 재천의 사이를 간기라 하고 여기에 좌우를 붙여 좌간 우간이라 한다. 사천지기가 나를 바라보고 아래를 다스리기 때문에 사지기가 좌간이고 이지기가 우간이며, 재천지기는 아래에서 중앙을 보고 있기 때문에 초지기가 재천지기의 좌간이 되고 오지기가 우간이 된다.


3. 오운의 운을 이야기할때, 대운과 주운, 객운이 있다. 대운을 중운이라고도 하는데 왜 중운이라고 하는가.

대운, 사천, 재천이 운기학의 삼대요소이고, 사천을 상이라 칭하고, 재천을 하라 칭할 때, 대운이 중이 된다. 따라서 상 중 하의 삼대 요소중 하나로 대운을 중운이라 하는 것이다. 운이란 내면에서 돌아가는 원리를 의미한다. 대운은 가장 큰 운으로 그해 전체가 돌아가는 것을 주관한다. 


4. 오운을 칭함에 있어 표현하는 것은 각치궁상우 오음으로 칭하는데 왜 그러한가.

우주가 인간에게 영향을 주는 방법은 우리가 느끼지 못하는 형태로 전달되는데, 그것에 가장 가까운 형태가 소리이다. 우리의 감각 중 눈으로 볼 수 없고, 직접 접촉하지 않는 것은 소리이다.


5. 주운과 객운의 일년 변화에 대해 

주운 역시 대한일부터 시작하여 365.25를 5분한다. 주운은 정해져 있어 각치궁상우 순으로 주행하며, 다만 태소가 바뀐다.  태소는 십간의 양간이면 태, 음간이면 소로 본다.이로써 음, 수간이면 주운은 소우가 되고, 그해 주운이 소우라 했을 때 목화토금수 각치궁상우에 소각 태치 소궁 태상 소우 식으로 태소를 번갈아 배치한다.

객운은 손님이므로 갈마들어 오기 때문에 여러사람이 들어올 수 있다. 대운을 기준으로 대운 기운을 우두머리 삼아 주운 위에 올라온다. 소우가 대운이므로 소우 소각 태치 소궁 태상 식으로 들어온다.  대운에 의해 각치궁상우의 태소는 이미 정해지는 것이고, 그 고리가 주운으로 배열되고 객운으로 배열되고 하는 것이다.

객운 소우 - 소각 - 태치 - 소궁 - 태상

주운 소각 - 태치 - 소궁 - 태상 - 소우


6. 주운 객운은 어디에 씁니까. 

주운 객운은 실제 우리 생활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하여 크게 고려하지 않아도 될 듯 합니다. 주운 객운 언급은 운기칠편 육원정기대론에서도 사천지정 부분에만 있습니다.

천부 세회 평기의 평가에도 쓰임이 없습니다. 

십간 오운과 십이지 육기, 오운의 체는 갑을 목, 변화는 갑기 토, 이 갑기토의 변화에서 또 파생되는것이 대운이며 주운 객운인데, 객운은 불변의 성인 오운이 변하고 변하고 또 변한것이다. 육기는 객기가 변화의 성인 육기가 변하고 변하고 또 변한것이다.


7. 평기란 무엇입니까. 

주운의 태과 불급에 대하여 객기가 그것을 상쇄하는 경우에 주운과 객기의 만남으로 우리가 느끼기에 평기가 되는 것입니다.


8. 태과와 불급은 어떻게 이루어집니까.

태과의 전년은 불급년입니다. 전해의 기운이 약하므로 대한일의 13일 전(왕빙주: 한 절기 15일은 넘지 않는다) 에 올해 기운이 먼저 들어옵니다. 불급의 경우는 13일 늦게 들어옵니다. 


9. 육보에 삼음삼양을 배속하는것은 어떤 이유입니까.

삼음삼양은 표라 하고 본은 오행입니다. 삼음삼양은 오행에서 육기가 파생되어 나온 한 형태입니다. 궐음풍목이라 할 때 궐음은 표고  목은 본이며, 풍은 중기입니다.

목이 우주의 근원이라 할 때, 우리가 그것을 느끼는 방식은 풍입니다. 풍으로 인한 만물의 변화상이 나타나는데 궐음의 상이라 하는것입니다. 

따라서 주기 육보를 궐음 소음 소양 태음 양명 태양으로 쓸 때, 그 근저에는 궐음풍목, 소음군화 소양상화 태음습토 양명조금 태양한수 이런식으로 목 화 토 금 수의 운행이 이루어집니다. 


10. 주기 순서 

오행 목화토금수 순행을 따릅니다. 궐음 - 소음 - 소양 - 태음 - 양명 - 태양 

객기는 그 해의 지지로부터 우두머리를 찾습니다. 만약 신묘년이면 묘, 묘유양명조금이므로 양명을 우두머리로 삼아 사천자리에 둡니다. 

객기는 가장 높은 자리가 사천의 자리(삼지기)에 갑니다. 객운은 왜 우두머리를 처음에 넣었는데, 객기는 왜 우두머리를 사천의 자리에 두는가, 그것은 기의 세계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운은 강하게 들어오고, 기는 점차 강해지고 약해지는 흐름이 있습니다.


11. 객기의 순서가 이상합니다. 왜 이런 차이가 생깁니까?

객기의 순서는 궐음 소음 태음 소양 양명 태양으로 태음과 소양의 순서가 다릅니다.  이는 원래 삼음삼양 육기의 세트를 만들 때 객기의 표기를 목적으로 만들었기 때문입니다. 실제로는 객기의 표기를 위한 조합을 주기에 갖다 쓴 것입니다. 

육기의 표기는 일음 이음 삼음 일양 이양 삼양 순으로 궐음 소음 태음, 소양 양명 태양으로 이루어집니다.

육기에서는 객기가 실상입니다. 육기의 주기는 사실 오운으로 해도 괜찮을 것이나 육기 객기와의 조합을 위해 주기에 육기의 표기법을 가져다 쓰는 것입니다.

운기칠편에서 궐음 - 풍 - 목 과 같은 표본중기 배속이 보이고 다른데서는 보이는지 보이지 않는지를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12. 천부, 세회, 태을천부,

대운과 사천 및 세지를 비교하여 대운과 사천이 부합하면 천부(사천에 부합한다.)라 하고, 대운과 세지가 같으면 세회(해랑 만났다.)라 합니다.

예로써 을묘년이면 을경합금, 묘유양명조금, 으로 천부년이 되고, 병자년은 병신합수, 에 세지자수가 만나 세회가 됩니다. 천부이기도 하며 세회이기도 한 것은 태을천부입니다. 그 해의 기운의 순으로 보면 태을천부> 천부 > 세회가 됩니다. 

대운과 재천을 비교한 결과가 동천부, 동세회입니다. (유사하다는 뜻의 동)

단 재천지기와 맞춰볼때는 태과불급지년의 구분이 있습니다. 사천지기와의 조합은 태과와 불급을 따지지 않습니다.

태과년일 때 동천부가 가능하고 불급지년의 운과 세지가 만났을 때 동세회가 성립합니다.